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K-패스,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나요? (신청 방법)
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, 직장인이라면 ‘K-패스’라는 이름, 이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. 매달 정해진 횟수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30~53%까지 교통비를 돌려주는 제도로, 특히 청년층과 저소득층에게는 체감 혜택이 큰 편이죠.
그렇다면 K-패스를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고,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?
지금부터 하나씩 정리해 드릴게요.
📌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먼저, K-패스는 카드만 발급받는다고 끝이 아닙니다. 카드 발급 이후 반드시 회원가입 또는 전환 절차를 거쳐야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신청은 아래 두 단계로 나뉘어요.
1️⃣ K-패스 카드 발급 (10개 제휴 카드사에서)
2024년 4월 24일부터 주요 카드사에서 K-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어요.
국민카드, 신한카드, 삼성카드, 하나카드, 우리카드, BC카드, 농협카드, 현대카드, DGB유페이, 카카오페이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.
👉 각 카드사 홈페이지나 앱에서 'K-패스' 검색 후 발급 신청 가능
2️⃣ K-패스 회원가입 or 전환 (혜택 적용을 위해 필수)
- 신규 신청자는 👉 K-패스 공식 누리집 또는 2024년 5월 1일 출시된 K-패스 앱에서 회원가입
-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👉 알뜰카드 누리집에서 간단한 전환 신청 가능
✅ 꼭 준비해야 할 것
준비 항목 | 설명 |
---|---|
K-패스 전용 카드 | 각 카드사에서 신청 |
본인 명의 계좌 | 교통비 캐시백 입금용 |
공동인증서 | 회원가입 시 본인 인증용 |
알뜰교통카드 앱 / K-패스 앱 | 월 이용내역 및 적립 확인용 |
❗주의사항
- 회원가입(또는 전환)을 하지 않으면 카드만 발급받아도 혜택은 적용되지 않아요.
- 혜택은 회원가입 완료일 기준으로 적용되며, 과거 이용내역은 소급 적용되지 않아요.
- K-패스 앱은 2024년 5월 1일부터 앱스토어·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해요.
📝 정리하자면
- 카드사에서 K-패스 전용 카드 발급
- K-패스 앱 또는 누리집에서 회원가입 or 전환
- 이후 매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으로 환급 적용!
K-패스 신청은 상시 가능하며, 특별한 마감일은 없습니다.
하지만 빠르게 신청하고 꾸준히 교통비를 아끼려면, 지금 바로 신청을 시작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😊
반응형